제주 매년 해양쓰레기 ‘골머리’...전국 최초 해양쓰레기 수거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정책 운영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기여 탄소배출권 확보
어구·부표 보증금제, 어구실명제, 사용량제한 등 예정...수중어구 지도‧단속 어려워 실효성 한계
해조류 활용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사업 떠올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 폐 페트병, 플라스틱통 등을 이용한 조형물이 설치된 모습.(사진제공=제주뉴스DB)

전 세계 해양쓰레기의 80%로 추정되는 플라스틱은 해양생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인간에게도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2019년 6월 ‘해양 플라스틱 저감종합대책’을 심의·확정해 발표해 발생·수거·처리 등 해양 플라스틱 생애주기 관리방안에 관한 전략을 추진해 해양 플라스틱을 2018년 대비 2020년까지 30%, 2030년까지 50% 저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폐기된 어업 장비는 해양 생물과 다이버 모두에게 큰 생태 문제와 위험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재활용으로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 탄소배출권 확보 및 거래로 수익 발생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지역도 매년 해양쓰레기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에 전국 최초의 해양쓰레기 수거 인력인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정책도 운영중이다.

올해 제주도를 대상으로 시범 실시했던 ‘국민과 함께하는 바다가꾸기 사업’도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 시행한다.

환경부도 오는 2023년부터 플라스틱 등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부표 사용을 의무화한다. 2022년부터는 폐어구나 폐부표를 가져오면 보증금을 되돌려 주는 어구·부표 보증금 제도도 시행한다.

정부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단계부터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사용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쓰레기의 합동 수거활동도 강화한다.

심각한 바다 오염을 초래하는 플라스틱 퇴출을 위해 오는 2023년부터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기 쉬운 스티로폼 부표 대신 친환경 부표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의무화한다.

또한 어구 과다사용을 막기 위해 어구 사용량 제한, 어구실명제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수중의 어구를 지도‧단속하기 어려워 실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지적은 제주 역내외 불균형 완화를 위한 지역특화사업 발굴 연구 최종보고서에서 나왔다.

또한 보고서는 해양쓰레기와 해양 플라스틱의 재활용 및 업사이클링 기술개발을 위한 산-학-연 기술협의회 구성과 운영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생분해되는 해조류 활용 바이오플라스틱 확대해야

특히 해조류를 활용한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사업이 떠오르고 산업화 등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바이오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천연 자원으로부터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플라스틱을 총칭하는 용어다.

플라스틱은 다양한 분해 작용으로 구분한다. 대표적으로 물리적·화학적 분쇄에 의해 단량체 단위로 분해가 되는 것과 물, 이산화탄소, 바이오매스로 각각 분해가 되는 생분해로 크게 구분된다.

플라스틱 생분해는 대부분 매립 토양 혹은 해양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므로 생분해 조절기술은 제품용도 및 사용 및 분해 환경조건에 맞춰 개발이 필요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석유계 난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이 사용되는 일상 플라스틱 제품대체(비닐봉투, 컵, 포장재, 식품 용기 등) 및 자동차·전자기기 등에 사용 가능하고 생분해성 소재 복합화를 통해 해양 및 토양 환경에서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어구, 어망 등의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하는 천연물계 생분해 플라스틱은 탄소저감 효과가 높으며 퇴비화, 내구성, 내열성, 투명도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어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반면 석유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친환경 소재이지만 탄소저감 효과가 낮아 그 수요 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약 4만 톤 규모로 국내 플라스틱 시장의 0.5%를 차지하며 세계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의 1~2% 내외를 점유하고 있다.

◆ 제주-남해안벨트 해양쓰레기 관리추진 사업단 등 폐기물 처리업체 만들어 추진해야
   해양쓰레기 ‘Recycling(재활용)’ 넘어 ‘Upcycling(업사이클)’

한편 노르웨이의 농업‧어업 폐기물 처리업체인 노피르(Nofir)사는 어망 분리‧수집시설과 나일론,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가죽, 고철 재활용 공장과 연계해 어선어업에서 발생하는 폐어망 수거‧재활용 시스템을 유럽에 구축했다.

노르웨이는 어업 및 양식업에서만 매년 1만 5천 톤의 플라스틱 장비가 폐기되고 있는데 Nofir는 노르웨이에서 폐기물 수집의 전국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08년에 설립됐다.

지정된 배출 장소, 폐기물 수집업체, 어선 등에서 어망, 로프 등을 회수해 플라스틱 재생원료를 제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어구 일제회수 제도는 폐어구의 수거에 일차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유럽의 EUfir 시스템은 폐어구의 수거에서 재활용(recycling)까지 주기를 확장하고 있다.

최근 해양쓰레기는 ‘Recycling(재활용)’을 넘어 ‘Upcycling(업사이클)’한 해양쓰레기는 본 소비 트렌드 변화로 해양쓰레기를 업사이클한 스케이트 보드, 선글라스, 운동화, 현관용 매트 등의 제품이 상품화되고 있다.

이에 노피르(Nofir)사, 유럽의 EUfir 시스템 등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수거 전문기관이 설립이 필요하다.

제주-남해안벨트 해양쓰레기 관리 사업을 추진할 사업단을 만들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각 지자체에 지역지원단을 만들어 주관사업 및 협력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