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해결...2순위 지하수오염 17.5%, 해양쓰레기 11.4%, 미세먼지 9.1%, 축산악취 7.6% 순
분야별 ‘심각’ 생활쓰레기 79.4%, 해양쓰레기 78.2%, 지하수오염 63.0%, 축산악취 54.3%, 미세먼지 53.7% 순
환경보전 및 개선비용 확보 방안 ‘환경오염시설 원인자 부담’ 가장 많아

(사진출처=‘제주 환경보전을 위한 도정정책방향 도민 인식조사’보고서 캡처)

제주도민들 상대로 한 여론조사결과 환경문제가 “심각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전 및 개선을 위한 비용 확보 방안으로 ‘환경오염시설 원인자 부담’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분야별로 ‘심각하다’는 응답은 생활쓰레기 79.4%, 해양쓰레기 78.2%, 지하수 오염 63.0%, 축산악취 54.3%, 미세먼지 53.7% 순으로 나타나 도정의 환경 정책 등에 시급한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우선순위를 둬야 할 사항으로 ‘생활쓰레기’분야를 53.4%가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지하수 오염 17.5%, 해양쓰레기 11.4%, 미세먼지 9.1%, 축산악취 7.6%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제주 환경보전을 위한 도정정책방향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여론조사는 도민 7백명을 대상으로 지난 12월 9일부터 12월 13일까지이고 조사방법은 전화면접 및 모바일앱을 혼용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7% 포인트 응답률은 12.9%(총 5천435명 중 700명 응답 완료)이었다.

제주도는 이 같은 ‘제주 환경보전을 위한 도정정책 방향 도민인식조사’ 여론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모든 연령층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로 ‘생활쓰레기’꼽았다. 30대(58.3%)에서 가장 높았고 만18~29세는 ‘해양쓰레기’(21.1%)를, 60세 이상 응답자는 ‘지하수 오염’(25.0%)을 심각한 문제1순위로 꼽았다.

생활쓰레기 분야의 경우 제주시 읍면 단위 지역(84.0%)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서귀포시 읍면 단위 지역에서는‘심각하다’는 응답이 65.2%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생활쓰레기 처리 대책’으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은 ‘생활쓰레기 감량 및 1회용품 사용규제’가 40.9%로 가장 높게 나왔다. 이어 ‘생활쓰레기 처리시설의 안정적 운영’ 21.1%, ‘재활용산업 육성 및 기반조성’ 20.6%, ‘재활용도움센터 확대 구축’ 15.3% 순으로 조사됐다.

이어 ‘지하수 보전을 위한 대책’으로 가장 필요한 정책은 ‘비료, 가축분뇨 등 지하수 오염원 관리’를 응답자가 56.5%가 답했다. 이어 ‘지하수 취수허가량 관리 강화’24.4%, ‘지하수 교육·홍보 강화’9.8%, ‘지하수 원수대금 부과체계 개선’6.7% 순을 보였다.

‘미세먼지 대책’으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도민들은 ‘미세먼지 발생 사업장 지도단속’ 31.7%, ‘미세먼지 감시체계 구축’ 25.0%이 오차범위 내에서 1,2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미세먼지 저감·회피사업 지원’ 21.6%, ‘미세먼지 집중 관리구역 지정’16.6% 순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도민들의 인식은 그동안 제주도정이 생활쓰레기와 미세먼지와 관련해 상세한 실상을 도민에게 알리지 않아 이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계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생활쓰레기 처리 등과 관련해서는 해외 등 선진환경을 선도하는 지역의 정책을 홍보해 행정이 도민위에 군림하는 정책이 아닌 도민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제주가 미세먼지의 안전지대가 아님에 따라 미세먼지 특히 건강권과 관계가 깊은 초미세먼지 등에 자세한 실상과 실태를 도민에게 홍보하고 미세먼지(초미세먼지포함)의 오염원에 대해서도 도정이 홍보하고 계도해야 하나 이런 프로그램이 전혀 없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WHO(세계보건기구) 등 미세먼지관리와 문재인 정부도 미세먼지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어 제주의 초미세먼지주의보 등은 현재보다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관광과 청정제주를 내세우는 제주도는 제주형 미세먼지 관리시스템을 만들어 선제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등 호흡기 관련 감염병의 창궐로 도민과 관광객을 위한 미세먼지(초미세먼지포함) 저감대책 실행도 선제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축산악취 해결 대책’으로 ‘지도단속 강화’ 28.5%와 ‘양돈농가 인식 제고’28.5%가 동률로 조사됐고 이어 ‘제주악취관리센터 적극 운영 ’27.0%, ‘액비 살포 기준 강화’12.5% 순으로 집계됐다.

‘해양쓰레기 처리 대책’으로 ‘해양쓰레기 발생원인 차단 및 관리 강화’라는 응답률이 48.3%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해양쓰레기 수거, 운반 대책 강화’19.8%, ‘해양쓰레기 처리 인프라 확충’16.6%, ‘해양쓰레기 정책홍보 및 환경교육 강화’13.7%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보전 및 개선을 위한 비용확보 방법으로 ‘환경오염시설 원인자 부담’이 41.4%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부와 자치단체 예산 투입’ 25.6%, ‘상하수도,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봉투 등 각종 사용요금 현실화’ 19.3%, ‘(가칭) 환경보전기여금 징수’10.1%의 순으로 응답했다.

환경보전과 인식에한 트랜드가 점차적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 감지됐다.

또한 환경보전 인식 개선을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도 조사한 결과 ‘환경교육 전문인력 확대 및 역량 강화’가 35.9%, ‘행정기관 주관 도민 교육’22.3%,‘교육기관을 통한 학교별 교육’21.3%,‘민간, 사회단체 주관 도민교육’18.3% 순으로 나타났다.

김승철 道 소통혁신정책관은 “이번 도민인식조사를 통해 확인된 도민 의견이 도정 환경정책 추진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정보 공유차원에서 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