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과 전남 손 잡고 총회 유치 문을 두드려...제주 최대 유치 경쟁자 될 전망
유치위한 민간위원회 구성 등 총력 다해야...도의회도 정파 떠나 초당적 협력 당사국총회 유치 지지 결의안 등 적극적 활동 전개해야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제주도정이 2023년 UN기후변화 당사국총회 제주 유치 활동을 전개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타지자체도 사활을 걸고 있어 이에 제주도의회와 제주의 국회의원들, 모든 도민들이 UN기후변화 당사국총회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중앙정부 등에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유치를 위한 민간이 주도한 민간유치위원회 결성 등을 통해 제주의 단합되고 한팀이 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제주뿐만 아니라 전남과 경남, 인천시, 고양시, 여수시 등이 유치를 위해 뛰어들고 있다. 특히 여수시는 시청내 조직에 ‘기후환경과’ 등 공식 직제도 갖추며 사활을 걸고 있다.

2023년 UN기후변화 당사국총회는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2만여명이 참여한다. 유치 시 제주의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고 제주를 대한민국을 대표한 환경과 관광의 글로벌 도시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대외여건도 좋아지고 있다.

미국의 대통령선거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이 유력해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파리기후협약서 공식 탈퇴로 반 기후변화정책에서 바이든 당선예정자는 재가입을 천명하는 등 반 트럼프정책으로 미 대선을 거뭐졌다.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살리는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일대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형 그린뉴딜도 좋은 기회다.

이번 제주포럼에서 원희룡 지사는 주한 EU대사, 뉴질랜드 대사, 영국 대사, 유연철 기후변화 대사와의 면담을 통해  UN기후변화 당사국총회 유치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그린뉴딜을 선도하는 제주의 원대한 목표가 지난 10월 13일 청와대에서 국회·정부 관계자 및 17개 시·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소개됐다. 이 자리에서 원 지사는 “2015년 파리 기후변화협약 총회에서 탄소중립 제주의 모델을 전 세계에 발표했다. 제주의 지난 10년의 경험과 앞으로 10년의 비전을 바탕으로 2023년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제주에서 유치하고자 한다”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성과를 공유하고 글로벌을 선도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 하겠습니다”라고 소개했다.

그러나 타 지자체의 활동도 만만치 않다.

경기도의회는 ‘고양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 지지 결의안’이 지난 10월 22일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시켰다.

전라남도는 “2022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남해안남중권 유치 촉구 건의안”이 지난 9월 26일 전남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특히 여수시에서 지난해 3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남해안권 유치 T/F팀 1차 회의를 개최했다.

박봉순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장이 팀장을 맡고, 여수, 순천, 광양, 고흥, 구례, 전남 5개 시군과 4개 민간단체, 진주, 사천, 하동, 남해, 산청, 경남 5개 시군과 4개 민간단체가 참여했다. 경남과 전남이 손을 잡고 총회 유치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제주의 최대 경쟁자가 될 전망이다.

인천시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Conference of the Parties)’의 인천 유치를 위해 나섰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스페인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를 논의했다. 전남은 이와 함께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 유치 홍보단도 운영하고 있다.

여수시는 당사국총회 유치 100만인 서명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이에 맞선 제주도는 도의회와의 상설정책협의회에서 전 세계적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정책 등 제주의 노력과 청정한 이미지를 국내외에 알릴 수 있도록 2023년 제28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제주유치에 힘을 보탠다고 했다.

그러나 타 지자체와 같은 제주도의회 차원의 당사국 총회 유치지지, 촉구 결의안은 없다. 도의회의 정파를 떠나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원희룡 지사가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 ‘보아오포럼 2018 서울회의’, 2018년 9월 남동아시아 지역 기후·에너지 글로벌 시장협약(Global Covenant of Mayors for Climate & Energy, 이하 ‘GCoM’) 출범식 등에서 '제주카본프리아일랜드' 계획을 소개하며 유치를 위해 뛰고 있으나 도의회와 도민의 총화를 모으는 데는 미흡했다고 본다.

이제라도 도의회도 정파를 떠나 민간, 제주도정과 함께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 함께 민간이 주도하는 유치위원회 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