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수자원 한 축 서부지역 지하수 수질 악화로 무너지며 비상등 켜져

삼다수 증산 개발공사 성장보다 최고수질 유지토록 정책변화 생명수 지키는 정책 방향 맞춰야  

오영훈 도정 개발공사 사장 LH임원진 선정...임대아파트 건설 등 정부와 지자체 정책 포커스 맞춘 것 제대로 된 인사

2017년까지 25년간 정기 지하수 수질검사 4천979공 분석...질산성질소 466개소(8.96%), 수소이온농도 218개소(4.38%), 염소이온 70개소(1.4%), 암모니아성질소 8개소(0.16%), 중금속류인 망간 2개소 먹는물 수질 기준 초과

오염도 심한 곳 빠져 정확한 수질 이보다 더욱 심각하다는 지적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에 대한 이용량은 전국 최고 수준이나 수질관리 등은 엉망으로 제주의 생명수에 적신호가 커져 위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가 섬이란 특성과 강과 호수 등 육지부의 수자원이 부족해 지하수의 이용은 당연하다. 그러나 지하수의 적정사용과 수질관리가 필수이나 제주 수자원의 한 축인 제주지역 서부지역의 지하수가 수질 악화로 무너지며 비상등이 켜진지 오래다.

2021년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평가체계 구축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지하수 개발과 이용 특성을 보면 지하수 관정 1공당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평균이 2천400㎥/년이나 제주도는 4만2천500㎥/년로 17.5배를 사용해 전국에서 가장 많이 개발됐고 세종보다는 42배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지하수 이용량은 전국 평균이 4만200 ㎥/년이나 제주도는 11만1천800㎥/년로 가장 많고 강원도가 1만3천400㎥/년으로 가장 적었다. 

제주삼다수도 증산을 통한 제주도개발공사 성장보다는 최고의 수질을 유지하도록 정책적 변화를 통해 생명수를 지키는 쪽으로 정책적 방향이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영훈 도정이 개발공사 사장을 LH임원진 출신을 선정해 임대아파트 등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은 제대로 된 정책이다.

지하수를 통한 성장과 일자리창출이 아니라 지역의 임대아파트 등 건설수요를 일부 담당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중 주거복지를 위한 제주의 임대아파트 등 건설은 전국 최저 수준이라 이를 보완하고 제주도개발공사를 제주의 우량기업으로 키우기 위해 지하수를 기본으로 한 삼다수의 증산을 멈추고 건설과 감귤 등 제주의 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을 만들어 브랜드화 해 일자리와 지역경제를 견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속에 제주특별자치도 2018~2022 수자원관리종합계획(보완)에 따르면 제주의 수질은 충격적이었다.

1993년부터 2017년까지 정기적인 지하수 수질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4천979공을 분석한 결과 질산성질소 466개소(8.96%), 수소이온농도 218개소(4.38%), 염소이온 70개소(1.4%) 순으로 먹는물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성질소 8개소 부적합률 0.16%, 중금속류인 망간 2개소 부적합률 0.04%, 알루미늄은 1개소 부적합률 1.02% 등이었다.

오염도가 심한 지하수공은 빠져 정확한 수질은 이보다 더욱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2021년 하반기 모니터링 결과 133개 조사 관정 중에서 질산성질소는 서부유역 6개소에서 지하수 환경기준 10㎎/ℓ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축단지 및 양돈액비 살포지, 화학비료 시비량이 많은 농경지 하류지역 지하수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양돈농가와 일부 농가들을 위해 제주의 지하수가 침탈당해 공공의 자원인 지하수를 제주도민이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까지 갈수도 있다. 일부 축산농가와 농가의 이익을 위해 제주의 생명수가 파괴당하고 이를 정상화하는 데 100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제주도정과 도민들의 자성과 이를 타개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고 양돈산업의 사업변화와 노지 농가의 스마트 농가로 전환 등 입체적 지원이 필요하다.

서부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 추세는 제주지역 전체의 농도 추세보다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제주 서부 일부 해안지역에서의 가뭄과 과도한 지하수 이용, 지질특성에 따른 해수 침투로 인해 농작물 염해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지하수를 용수로 사용할 수 없는 오염으로 간주되고 있다.

지하수 환경기준(250㎎/ℓ이하)을 초과한 관정은 동부지역 1개소로 경고를 보내고 있다.

2017년 한림읍 양돈 농가 2곳에서 여러 해에 걸쳐 8천500t의 축산분뇨를 제주 지하수 함양의 통로인 '숨골'에 불법 배출한 사실이 적발되어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 줬다. 이를 희석해 정상적인 지하수를 만들기 위해 100여년이 걸릴수 있으나 이들에 대한 처벌 등은 솜방망이이다.

섬 지역의 특성 상 지하수가 오염되면 더 이상 살 수 없는 지역이 될 수 있다. 제주도민 모두가 피해를 입고 모두가 죽는다는 경고다.

이런 상황속에 가축분뇨 발생량이 2010년 3천867㎥/일에서 2018년 5천216㎥/일로 34.9% 증가해 토양층에 불법 배출했을 경우 토양과 암반층 내 침적된 가축분뇨가 강우 시 빗물과 함께 지하수로 유입되어 최악이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지하수 관정 163개소 중 18개소 관정이 질산성질소에 오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화학비료 오염 15개소와 생활하수 및 쓰레기매립장 오염 2개소, 자연토양 유기물 1개소에 의해 오염된 사실을 확인됐다.

2015~2019년 5년 동안 화학비료 이용량은 연평균 4.9% 증가하고 있으며 ha 당 이용량도 연평균 6.5%의 증가세와 함께 전국 평균(230~340㎏)보다 2배 이상 높은 비료를 토지에 뿌려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

연도별 화학비료 사용량을 보면 2015년 사용량 3만9천431톤 ha당 사용량 629kg, 2016년 사용량 4만6천630톤 ha당 사용량 750kg, 2017년 사용량 4만3천086톤 ha당 사용량 705kg, 2018년 사용량 4만4천602톤 ha당 사용량 752kg, 2019년 사용량 4만7천078톤 ha당 사용량 797kg 등이다. 화학비료 평균증가율은 사용량 4.9%, ha당 사용량 6.5%로 급증해 제주의 생명수를 위협하고 있다.

한편 지하수 수질문제는 과학적으로 확인됐다. 기존 연구결과 제주도 지하수의 주요 오염 성분은 질산성질소이며 안정동위원소에 의한 오염기원 추정 결과 화학비료와 축산분뇨가 주요 오염원으로 밝혀졌다.

화학비료와 가축분뇨 외에 개인하수처리시설 및 가축분뇨 액비에 의한 질산성질소 오염이 우려되고 있으므로 신규 오염원에 의한 질산성질소 오염특성 평가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