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 세계 육지 17%, 해양 10%만 보호구역

전 지구적 환경대세 제주 생명사업 농업과 관광, 신재생에너지, 물 관리, 기후위기 대책 등 전 분야 걸쳐 선제적 정책구상과 실천 필요

제주환경 위기인 가운데 나온 이번 합의...새로운 동력 환경정책 대변화와 전환 중요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강화정책 갈등속 세계가 부러워하는 환경도시 구축 제주도정 발벗고 나서야...제주 새로운 성장동력 연결하는 지혜 필요

지구살리기에 전세계가 나서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유엔 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렸고 2030년까지 전 세계 육지, 담수, 해안, 해양 최소 30%를 보호하기도 합의했다.

역사적인 생물다양성 협약에 합의했다. 이에 196개국이 2030년까지 전세계 땅과 바다 30%를 보호한다는 협약에 서명했다. 현재는 전 세계 육지의 17%, 해양의 10%만 보호구역이다.

COP15 의장인 황룬추 중국 생태환경부장(장관)은 합의안에 대해 "모든 이들을 위한 생물다양성이 회복길로 접어들게 하는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미 황폐해진 육지와 해양 30%를 2030년까지 복원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위해 공공·민간 기금을 마련해 연간 2천억달러(약 260조8천억)를 조달하기로 했다.

다만 개발도상국들이 선진국의 비용부담을 더 요구해 이견도 도출됐다. 비용 부담을 놓고 선진국들의 기여가 더 커야 한다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반발했다. 그러나 합의안이 통과됐다.

세계 2위의 열대우림을 보유한 콩고민주공화국 등 개도국들은 선진국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며 불만을 표했다.

유엔 사무총장도 COP15 합의안을 반기며 내년에 기후변화를 논의할 새로운 국제회의를 주최하겠다고 밝혔다.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제한하기로 한 파리기후협약에 대한 위기가 이번 합의를 도출하게 된 것이란 지적이다.

다만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자는 기존 파리협약은 유효하다는 것.

한편 이 같은 전세계의 지구살리기에 제주의 환경을 고려한 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하고 더 촘촘한 환경정책과 목표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 지구적 환경대세가 제주의 생명사업이라는 농업과 관광, 신재생에너지, 물 관리, 기후위기 대책 등 전 분야에 걸쳐 선제적인 정책구상과 실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제주의 환경이 위기인 가운데 나온 이번 합의가 새로운 동력으로 환경정책의 대변화와 전환이 중요하게 됐다.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강화정책의 갈등속에 조화롭고 세계가 부러워하는 환경도시 구축에 제주도정이 발벗고 나서고 이를 제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연결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