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원 분포...북부해역 167개, 남부해역 63개, 서부해역 40개, 동부해역 13개로 나타나
매년 급증 해양쓰레기, 수질오염원 철저한 관리·투자 통해 환경오염원 발생 줄여야
플라스틱 환경오염 주범...미세플라스틱 등 심각한 문제 대두 환경부 2030년까지 플라스틱 발생량 50% 감축 목표

제주지역 바다연안의 생태계가 환경오염으로 인해 중병을 앓고 있다.

제주연안을 황폐화하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하수종말처리장, 양식장 등 수질 오염원 시설이 다량분포되고 해양쓰레기 등으로 인해 연안생태계 오염이 가중되고 있다.

제주도정이 해양쓰레기, 괭생이모자반 등에 골머리를 앓고 있으나 기존 수질오염원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함께 투자를 통해 환경오염원의 발생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17년 기준 제주 해역별 산업계 폐수 발생량을 보면 제주 서부해역에는 64개 업소 일간 4천254㎥가 배출되고 있다. 또한 북부해역에는 334개 업소에서 일 4천596㎥가, 남부해역에는 74개 업소에 일 1천455㎥, 동부해역에는 107개 업소에서 일 3천248㎥가 발생해 바다로 흘러들어 가고 있다.

또한 해역별 양식장 사료사용량을 보면 제주서부해역인 경우 107개 업체에서 월간 사료사용량이 11만3천363㎏, 제주북부해역인 경우 12개 업체, 제주남부해역인 경우 11개 업체에서 사료사용량이 3만3천164kg, 제주동부해역인 경우 200개 업체에서 사료사용량이 18만4천698kg을 사용해 양식어류 등이 먹다 남은 사료가 그대로 바다로 방류되어 오염원이 되고 있다.

하수종말처리장 등 제주 해역별 환경기초시설 분포 현황도 보면 서부해역인 경우 18개, 북부해역 10개, 남부해역 7개, 동부해역 30개로 나타났다.

기타 수질오염원 분포현황을 보면 북부해역 167개, 남부해역 63개, 서부해역 40개, 동부해역 13개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일부 농약과 비료 등 비점오염원이 하수 등을 통해 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제주 해안에 유입된 해양쓰레기는 2014년 5천600톤, 2015년 1만4천475톤, 2016년 1만800톤, 2017년 1만4천 62톤, 2018년에는 1만2천412톤으로 매년 증가되어 수거되고 있다.

해양쓰레기 수거에 소요된 예산은 2014년 20억3400만 원, 2015년 25억9900만 원, 2016년 35억7천만 원, 2017년 61억 100만 원, 2018년 64억 400만 원으로 급증하고 있다.

어선 조업 중 인양쓰레기는 수매사업으로 실시해 조업 중 인양 쓰레기는 2014년 227톤, 2015년 326톤, 2016년 323톤, 2017년 504톤, 2018년에는 256톤을 수매했다.

그리고 중국 저우산군도 기원의 괭생이모자반이 2015년을 시작으로 유입되기 시작해 중국에서 유입된 괭생이모자반은 2015년 1만2천100톤, 2016년 19톤, 2017년 4천418톤, 2018년 2천150톤을 수거했다.

이 같은 다양하게 유입되고 방치된 쓰레기 등 환경오염원에 위해 경관이 훼손되고 해양으로 유입시 미세플라스틱, 해양환경 파괴, 수산자원 감소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플라스틱이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쓰레기 발생 및 미세플라스틱 등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대 2018년 환경부는 '재활용 폐기물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해 2030년까지 플라스틱 발생량 50% 감축을 목표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제 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에 따르면 플라스틱 등 해양폐기물을 줄여 바다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어구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 소재 개발 ▲수거된 해양쓰레기의 재활용 확대 등 자원 순환 활성화 요구 강화 ▲생분해성어구 보급 지속 등을 담았다.

해양 폐기물 발생 예방에 대해 정부는 2023년 어구.부표 보증금제도 도입, 폐어구관리강화, 폐스티로펌 부표관리 강화, 선박기인 쓰레기 지도.단속 강화, 육상기인 쓰레기 해양유입 저감, 강, 하천 유역 쓰레기 총량 관리제, 외국기인 폐기물 관리.대응 강화 등의 대책을 제시했다.

그리고 해양폐기물 처리 등 재활용 촉진을 위해 ▲해양쓰레기 자원화 시설 보급 ▲민간 처리업체 관리 강화 ▲해양쓰레기 보관시설 설치 ▲생산자책임재활용제 적용 확대 ▲재활용.자원화 기술 개발 ▲해양쓰레기 에너지화 시범마을 조성 사업 등이 제안됐다.

이에 제주에도 정부의 제 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과 함께 제주 차원의 해양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