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높은 나무 보호위한 대책 마련해야“

▲ 참나무겨우살이로 인해 죽어가고 있는 참식나무 모습.
아열대성 기생식물인 참나무겨우살이가 기후변화 영향 등으로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 확산돼 우려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1일 지난 3년간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겨우살이의 분포현황과 숙주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이같이 발표했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 따르면 참나무겨우살이는 30여 년 전 서귀포시 일대의 해발 100미터 이하의 저지대에만 드물게 분포했다.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 해안가에서 해발 220미터 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포 범위도 해발고도외에 서귀포시 효돈천을 중심으로 동서방향으로 9킬로미터 정도로 넓게 확산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

식 밀도 또한 주요 분포지 1 헥타르 당 38.6 개체로 과거에 비해 훨씬 높아진 것으로 추정됐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참나무겨우살이가 이 같이 빠르게 확산하는 원인으로 기생식물 분포 중심지가 일본의 남부, 중국의 남부 등 동아시아의 아열대지역지역으로 제주지역의 빠른 온난화가 원인일 것으로 추정했다.

참나무겨우살이는 꼬리겨우살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나무로 크게 자라면 키 2미터, 굵기 6센티미터에 달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기생식물 중에서는 가장 대형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혼슈 이남, 중국 남부 등 동아시아의 아열대에 분포하며 다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서귀포시의 바닷가 인근에 드물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참나무겨우살이는 주로 새에 의해 종자로 번식하는데 생장과정에서 숙주가 되는 나무에서 양분을 흡수해 자라기 때문에 숙주의 가지가 말라 죽거나 심하면 숙주를 고사하게 된다.

또 기생하는 나무종류는 활엽수로 구실잣밤나무를 포함한 참나무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종류, 거의 모든 벚나무 종류, 침엽수로서는 삼나무와 비자나무 등으로 총 20종이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현화자박사는 “아열대성 기생식물인 참나무겨우살이가 온난화가 진행되면 더욱 빠른 속도로 확산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경제성이 높은 나무들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