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본부, 국내·외 비교적 젊은 화산암 연대측정 기준 시료로 활용 전망...연대측정 국제표준 활용 기대

한라산 영실 전경.(사진제공=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영실 조면암을 화산암 연대측정 참조물질로의 활용을 제안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지질표준 및 지질분석 연구’에 게재 승인됐다고 17일 밝혔다.

논문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남서쪽 영실 조면암에서 분리한 ‘저어콘(Zircon)’이라는 광물을 화산암 연대측정법 중 하나인 U-Th 비평형연대측정법의 기준 물질(참조물질)로 제안했다.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의 저어콘 광물이 참조물질로 제안된 것은 전 세계에서 처음이다. 또한 한반도 내에서 발견된 저어콘 광물이 참조물질로 제안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질학적 참조물질은 서로 다른 기관에서 분석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 영실 조면암에서 분리한 저어콘을 서로 다른 4개의 기관에서 분석한 결과 8만 2,000년(±6,000년)의 동일한 연대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세계유산본부가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2016~2019년 4개년에 걸쳐 추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기초학술조사’의 일환으로 호주 커틴대학의 루비 마르스덴, 마틴 다니식(Martin Danisik) 박사 등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지질학적 시간 측정에 다양한 연대분석법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 지질역사의 층서 비교에 있어 여러 기관에서 분석한 연대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 기준 물질(참조물질)이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유산본부는 참조물질로 제안된 한라산 영실 조면암이 향후 울릉도, 백두산 등 한반도 화산활동 연구뿐만 아니라, 국외의 많은 화산활동 연구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화산암 내 저어콘의 결정화 시기는 비교적 지하 천부에 생기는 마그마방의 형성시기를 알려준다.

이 때문에 지하 마그마방의 형성과 이후 화산분출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어, 과거 화산활동의 분출 패턴분석과 미래 화산활동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공동연구를 추진한 한라산연구부 안웅산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화산활동 시기를 밝히는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한라산연구부는 제주도 화산활동 연구를 위해 여러 연구기관과 다학제적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신창훈 한라산연구부장은 “제주도 한라산 고지대는 약 20만 년 전부터 2,000년 전까지 주기적으로 분출한 화산 활동의 기록을 가진 최적의 화산 연구지”라며 “국내·외 연구진들과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미래 화산활동을 예측할 수 있는 실질적 연구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