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스트레스...여성은 ‘가족문제’ 26.4% 남성은 ‘대인관계’ 30.9% 가장 높게 나타나
강력범죄 피해자 여성86.4%...‘야간보행 두려움’ 여성50.5% 여성 안전정책 필요
여성, 육아와 가사 부담 여전...일과 가정 양립 저출산 개선 위해 다양한 정책 마련 필요
여성, 성별 임금격차 2019년 69.5%...낮은 임금받아

2020년 7월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한국폴리텍대학 제주캠퍼스와 제주 여성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모습. (사진제공=제주뉴스DB)

제주 여성은 안전과 관련한 불안 정도는 58.1%로 남성 48.1%에 비해 10%p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의 안전과 관련해 불안 정도는 지역성평등지수 상위지역인 부산, 대전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대구, 광주 지역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제주 강력범죄 피해자 중 여성비율은 2010년 83.7%에서 2018년 86.4%로 약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야간보행의 두려움’은 제주가 타 지역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특히 제주여성이 50.5%로  남성 28.1%에 비해 훨씬 높아 여성을 고려한 안전정책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제주 도민의 스트레스 주요 원인을 보면, 여성은 가족문제가 26.4%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많았다. 남성은 대인 관계가 30.9%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울감의 주요 원인을 보면 여성과 남성 모두 가족문제로 인한 우울감이 가장 높았다. 여성은 43.6%로 남성 31.4%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여성의 가족 성 역할 부담을 해소하고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제주 주요부서의 여성공무원 비율은 타지역보다 낮게 나타났고 예산부서의 여성공무원 비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에 제주도는 2021년 상반기 정기인사를 통해 .문화체육국장, 예산담당관, 총무·조직 팀장 등에 여성 공무원을 전진 배치해 여성공무원의 비율을 높이도록 개선해 주목되고 있다.

그리고 마을리더인 이장 총 172명 중 여성은 4명 2.3%뿐이고, 통장 총 568명 중 여성은 20명 38.7%로 나타나 마을단위의 행정 의사결정구조의 성별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마을 만들기 사업에 특히 여성 리더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 제3차 여성친화도시 기본계획 수립 연구’의 최종보고서에서 제언됐다.

한편 제주도의 경제활동참가율 및 고용률은 여자와 남자 모두 타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나,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를 보면 여성은 육아·가사가 50.4%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은 기타를 제외하면 재학·진학준비가 23.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육아와 가사 부담은 여전히 여성의 역할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취업자 중 상용직 종사 비율은 40.9%로 타 지역보다 낮게 나타났고 제주 여성의 상용직 비율은 39.3%로 남성 42.2%보다 낮게 나타났다.

임금근로자 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가 적고, 임시근로자가 많으며, 비임금근로자 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고용주거나 자영자인 경우가 훨씬 적고, 무급가족종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근로자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의 성별임금격차는 2010년 여성이 남성의 월평균 임금의 59.7%, 2019년에는 62.1%로 소폭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심각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제주의 성별 임금격차는 2019년 69.5%로 전국의 성별 임금격차보다 약간 나은 상황이지만 제주의 월 평균 임금이 전국에 비해 최하위권에 속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낮은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제주도민 모두가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가사활동에 여성이 2시간 56분을 남성은 49분에 비해 2시간 7분이나 더 가사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은 성별에 따라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한 저출산과 인구절벽을 개선하기 위한 제주도정의 다양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