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민 위원장, 제주형 기후위기영향평가제도 도입 촉구...“도의회 포스트코로나대응특위 힘 모아나갈 것” 강조

도의회 포스트코로나대응특위 강성민 위원장.

제주도정의 기후변화 용어 사용에 기후위기 인식이 여전히 한계라는 지적이 제주도의회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포스트코로나대응특별위원회 강성민 위원장(민주당, 제주시 이도2동 을)은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주도정이 여전히 현재 직면한 현실을 ‘기후위기’가 아닌 ‘기후변화’로 인식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대응계획 수립에 있어서 제주형 기후위기영향평가제도가 포함·검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성민 위원장은 “기후변화 대응계획에서 다루고 있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적응력 제고 방안은 아직 계획에 불과하긴 하나 환경파괴로 인한 지구온난화, 그리고 기후위기로 이어지는 포스트코로나시대에 올바르게 대응하기 위해 지금의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바 ‘기후변화’가 아닌 ‘기후위기’로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도는 지난 1월 14일 국가의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과 연계해 기존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보다 더욱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전략인 ‘2050 기후변화 대응계획’을 수립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강 위원장은 ”기후변화 대응계획에서 다루고 있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적응력 제고 방안은 아직 계획에 불과하긴 하나 환경파괴로 인한 지구온난화, 그리고 기후위기로 이어지는 포스트코로나시대에 올바르게 대응하기 위해 지금의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바, ‘“기후변화’가 아닌 ‘기후위기’로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강 위원장은 “지난 2020년 9월 행정자치위원회 임시회 회의에서 제주형 그린뉴딜 및 디지털 뉴딜 사업의 발굴단계에서부터 기후위기 관련 영향 및 탄소감축인지예산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며 “제주도의 적극적인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고 촉구한 바 있으나 구체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라고 제주도정을 비난했다.

국회와 타 지역은 이와 관련한 발 빠른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

강성민 위원장은 “우리가 현재의 상황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정책의 설계 뿐만 아니라 우선순위는 달라지는 것인 바, 진정한 의미의 ‘2030 카본프리아일랜드’ 실현을 위해 ‘제주형 기후위기영향평가제도’ 또는 ‘제주형 탄소감축인지예산제도’ 도입을 다시 한번 강력하게 촉구한다”며 “이의 실현을 위해 포스트코로나대응특별위원회 또한 힘을 모아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