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원인, 탄광사고-전쟁(위안부) 각각 10개 27.8%, 가혹한노동 9개 25.0%, 조난(익사) 3개 8.2%, 도주고문과 원폭 2개씩 5.6%
위안부 위령비 오키나와 등 태평양 전쟁 최전선 투입 일본군 성노예 살다 죽어...일부 운 좋게 살아서도 힘든 생활
비석, 양심있는 일본인-시민단체-민단.조총련-종교계-日 지자체 등 도움 세워져

편집자주

제주도가 지자체 최초 일제강점기 강제연행 현지조사를 시작한지 4년째이나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현지조사를 대신해 유가족들에 대한 조사로 대신할 예정이다. 2019년 모처럼 현지조사 사업이 궤도에 오르며 과거사해결의 사각지대인 제주인 강제동원에 대한 사실규명과 함께 유가족들의 명예회복을 실현하고자 했다. 이에 국가기록원 소장 '명부자료' 48만여명 중 제주인 명부에 대한 데이타 작업 결과 등에 대해 5차례 연재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군국주의가 패전 후 각종 강제연행관련 명부를 불태우고 이를 은폐하려는 악랄한 모습도 보였다. 조선인 강제연행을 통해 글로벌기업이된 일본 대기업들도 이에 동참해 소각 등 과거지우기에 나섰다는 증언이 일본현지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고 확인되고 있다. 간혹 소각되지 않던 자료들이 발견되기도 해 연구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조선인 돌무덤과 일본인 납골묘가 대조되고 있는 모습. 살아서도 죽어서도 버려진 조선인.(사진제공=고병수 기자)

일본 규슈와 오키나와 지역 조선인 강제연행 사망자를 애도하는 묘비(위령비, 추모비, 추도비 등)는 근무지별로 탄광(광산)이 22개 61.1%로 가장 높았다. 탄광에서 가혹한 노동에 의해 가장 많은 사고와 사망이 이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군부대(특공기지)가 7개 19.4%, 건설(토목) 공사가 3개 8.3%, 위안소가 2개 5.6%, 철도 공사와 비행장 건설이 각각 1개 2.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으로 강제 징용된 사람들은 대부분 탄광(광산)이나 철도, 댐 공사 등에서 강제노역을 했거나 군인군속으로 차출된 경우는 위안소(성적노예)와 군수공장, 그리고 군사기지(비행장 등) 건설에 동원됐다는 반증이다.

결국 이들 대부분은 일본에 강제적으로 끌려가서 가혹한 노동조건 속에서 목숨을 잃거나 억울하게 죽음을 당해 원통한 삶을 살았던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사망 원인별로 탄광 사고나 전쟁(위안부 포함)가 각각 10개 27.8%로 가장 높았다. 가혹한 노동이 9개 25.0%, 조난(익사) 3개 8.2%, 도주‧고문과 원폭이 각각 2개 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녀들이 동원된 위안부 등 위령비도 2개가 있어 성노리개 이후 질병 등으로 사망한 조선인 소녀들에 보여준 일본제국주의 만행이 그대로 드러났다. 위안부 위령비는 오끼나와 등 태평양 전쟁의 최전선에 투입되어 일본군의 성노예 등 비참한 삶을 살고 죽어갔다는 반증이다.

일부 위안부 할머니들은 운 좋게 살아서도 힘든 생활을 했다는 실상도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후쿠오카(福岡)가 17개 47.2%로 가장 높았으며, 오키나와(沖縄)가 7개 19.4%, 나가사키(長崎)가 5개 13.8%, 구마모토(熊本)와 가고시마(鹿児島)가 각각 2개 5.6%, 사가(佐賀)와 오이타(大分), 미야자키(宮崎)가 각각 1개 2.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규슈/오키나와 지방에서는 강제연행된 조선인들이 탄광, 비행장 건설, 군수공장, 군인군속, 성적노예 등 처참한 인권 말살으로 밝혀졌다.

건립 장소별로는 공원이 12개 33.3%로 가장 높았으며, 묘지(영원)가 11개 30.5%, 종교시설이 5개 13.9%, 기타(해안가, 공항 활주로 근처, 공업단지 산기슭, 회관, 개인주택 농지 등)가 4개, 해안가와 위안소 터가 각각 2개 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비석들은 추도하기 편하고 접근성이 좋은 곳에 건립하고 있으나 일부의 경우는 시민단체(NGO)나 종교인, 민단·조총련 등이 건립 주체들과 연계해 건립 가능한 장소에 세웠다고 분석된다.

건립 주체별로 시민단체가 9개 25.0%로 가장 높았으며, 회사 관계 8개 22.2%, 종교인이 5개 13.9%, 민단‧조총련과 지자체, 미상(마을 주민, 시민, 봉찬회, 개인)이 각각 4개 11.1%, 조합(노동)이 2개 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비석들은 인간의 존엄과 인권을 위한 양심 있는 일본인, 뜻있는 시민단체, 회사 관계자, 대한민국 민단과 조총련 등 재일한국‧조선인, 일본과 한국의 종교계, 지방자치단체 등의 도움을 받아 세워져 구천을 떠도는 원혼을 달래고 있었다.

한편 재일본 역사학자인 다케우치 야스토(竹内康人)에 따르면 일본에서 강제연행 사망자를 애도하는 묘비(위령비, 추모비, 추도비 등)는 일본 전역에 138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강제연행과 관련된 비는 85기, 관동대지진 19기, 위안부 5기 등으로 구분된다.

조선인 강제연행 관련 묘비는 후쿠오카(福岡) 16기, 훗카이도(北海道)‧도쿄(東京)‧오사카(大阪) 각각 10기, 오키나와(沖縄) 8기, 지바(千葉) 7기, 사이타마(埼玉)‧시즈오카(静岡)‧효고(兵庫)‧나가사키(長崎) 각각 6기 등으로 일본 31개 지역에 건립되어 분포하고 있다.
 
유형별로는 위령비가 17개(47.2%)로 가장 높았으며, 공양(위령)탑이 5개(14.0%), 납골당과 기타(기념비, 평화상, 묘지, 각명비 등)가 각각 4개(11.1%), 추모(추도)비와 진혼(조혼)비가 각각 3개(8.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비석들은 대부분 석비(石碑)로 건립되어 있으나 일부는 목비(木碑)나 철비(평화상)로 세워진 경우가 있는 것을 확인됐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