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수립 ‘2030제주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실행 지속 정책추진 필요
제주 온실가스 87% 건물 수송 공공 등서 배출...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보급 확대 에너지믹스 개선 및 에너지수요 절감 온실가스 배출량 34%감축 제시
탄소흡수원 사업 제주 주요사업 자리매김
스마트팜 등 통한 농업경쟁력 강화와 온실가스 감축효과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형 뉴딜 핵심 투자처는 지역이라고 말해 제주도가 코로나19로 어려운 경제를 이끌 동력으로 견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의 핵심 투자처는 지역”이라며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뉴딜의 성공 사례를 만들어낸다면 전국 규모의 뉴딜 사업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사업성과 일자리 창출 능력이 높은 지역 뉴딜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대통령과 시도지사가 참여하는 한국판 뉴딜 연석회의도 열 계획”이라며 “한국판 뉴딜이 지역에 새로운 활력돠 국가균형발전의 속도를 높이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그린뉴딜과 관련해 선도적, 선제적으로 추진되는 제주도는 이를 코로나19로 어려운 제주경제를 이끌고 제 2, 3의 성장동력으로 견인하는 데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제 3차 제주형 저탄소 녹색성장 5개년 계획에 따르면 2018년에 수립한 ‘2030제주특별자치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실행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핵심가치의 실현을 통해 장기적으로 제주도 안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도록 구현해야 된다는 것.

단기적으로 전력 수송 장기적으로 전력 수송 가스 통합 에너지 시스템 구현하고 도민참여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거래 시스템 구현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2015년 제주도 온실가스의 87%는 건물 수송 공공 등 에너지에서 배출되었다는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절감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주도는 비전의 달성의 중간적인 단계로 2030년 CFI계획의 4대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2030년 정책목표 달성을 통해 도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안 대비 34%감축할 것을 표명했다.

2030년 CFI계획 4대 정책목표는 도내 전력수요 100%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도입, 37.7만 대의 친환경 전기차 도입 최종에너지 원단위 0.071 TOE/백만 원 실현 에너지 융 복합신산업을 선도하는 데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전기차 보급 확대 에너지수요관리 고도화를 통해 에너지믹스 개선 및 에너지수요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34%감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첫번째로 온실가스 흡수원 확대를 추진한다. 공기 중의 온실가스를 생물의 체내에 고정하는 기능 확대, 기존 녹지의 보전과 녹지의 건강성 증진은 온실가스 흡수기능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해양의 탄소흡수원은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바다생물의 산란처 및 은신처 제공으로
해양수산자원의 보전과 생산성 증진에 기여한다.

자연자원을 이용한 온실가스 흡수원의 보전과 관리를 통해 온실가스 흡수를 극대화 한다. 이를 위해 공원녹지 조성 및 관리 해양탄소흡수원 확충 농업흡수원 확대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 발전계획(2018~2022)에 탄소흡수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포함시킴에 따라 탄소흡수원은 제주도의 주요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숲길 네트워크 구축 숲길 및 숲길 주변의 환경보전과 숲길 이용객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 숲길 네트워크 구축 및 시설물 설치 훼손등산로 정비 등 쾌적한 숲길환경 조성 등도 추진한다.

주요내용을 보면 ▲도시숲 215ha 명상숲 23개소 조성 ▲나눔숲 8개소 무장애 나눔길 9개소 조성 ▲가로수 및 녹지대 100천본 조성 ▲도시공원 160천본 조성 공익조림 500천본 민간참여 도시녹화 100만본 등이며 소요예산은 881억2500만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흡수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및 도시열섬현상 완화로 기후변화 적응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道는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제주도 주변해역 바다 속에는 해조류와 수산생물이 사라지는 갯녹음 바다사막화 현상 발생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해양 탄소 흡수원 확충은 수중 및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로 온실가스가 저감되며 용존산소 증대와 수중 오염물질 제거 등을 통한 해양환경 정화효과가 매우 높음에 따라  해양 탄소 흡수원도 확충한다.

이를 위해 ▲해중림 조성 사후관리 7개소 바다숲 사후 관리 6개소 해조류 수중이식 1개소 ▲인공어초어장 조성 22개지선(404ha 2019년 기준) ▲바다목장 강정 고성 신양 한경 사후관리 ▲연안바다목장화 조성 5개소( 고성.신양 강정 북촌 금능 추자) 등이 추진되며 이에 예산 711억8100만원이 투입된다.

이어 스마트팜 등 농업을 통한 온실가스 흡수 증진을 통해 제주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농업분야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추진된다.

제주도의 온실가스 간접배출량 중 폐기물부문은 배출량이 7.7%이다. 이에 자원순환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한다.

폐기물분야 중에서는 소각 52.1%, 매립 35.7%, 하폐수 8.0%, 생물학적 처리 4.2% 로 나타났다. 제주는 1일 평균 4159톤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제 3차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처리 기본계획 변경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은 2011년 대비 16.7%감소한 반면 생활폐기물과 배출시설계 폐기물 발생량은 각각 52%및 42.4% 증가했다.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전력생산 가능성이 높다는 것.

CFI비전 구현을 위해 장기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에너지시스템은 도내 신재생에너지 자원에기반한 자립형 카폰 프리 통합 에너지시스템이다.

2030년은 과도기적 단계로 HVDC와 도내 중앙발전기 그리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수용능력을 확보한 저탄소 에너지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재활용 수거체계 효율화, 축산분뇨 관리 고도화, 녹색구매 확대 및 재사용 시장 활성화 등도 추진한다.

한편 2015년 12월 파리협약의 채택으로 신기후 체제의 출범에 따른 우리나라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주도의 비산업부문에 대한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했다.

2010년~2015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7.3%증가한 반면 제주도는 11.1% 감소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고효율기기 보급 건물 단열강화 및 설비개선 친환경차 보급 신재생에너지 보급 등 다양한 사업을 제시했다.

제주도는 역점사업인 CFI 2030계획 수정보완 용역에서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보급 확대와 더불어 관련 산업육성에 정책 역량집중 비용 효율적으로 CFI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 보완 등 2가지 정책방향도 제시됐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