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국가기록원 ‘명부자료(名簿資料)’ 데이터화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제주인 강제동원 현황

Ⅱ. 국가기록원 ‘명부자료(名簿資料)’ 데이터화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제주인 강제동원 현황

1.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 분석의 필요성 이 부분은 2018년도에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진행한 조사보고서『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강제동원 현황 및 실태조사(九州·沖繩 편)』의 내용을 수정·정리한 것이다.

전시체제기(1937∼1945) 다수의 제주인들이 일제에 강제 동원되어, 일본의 침략전쟁 수행을 위한 인적자원으로써 활용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 규모는 약 782만 명(연인원, 한반도 내 6백 50만 명, 한반도 외 104만 명)에 이른다. 강제 동원된 조선인의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자료상의 한계로 불가능하다. 여기에서의 수치는‘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의 자료를 근거로 하였다.(󰡔위원회 활동 결과보고서(요약본)』, 2016.6, 33쪽).

이러한 강제동원에 대해 많은 언급이 진행되어 왔지만,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조선인 강제동원은 일제의 한반도 식민지 지배의 목적이 그들이 선전하던 그리고 지금도 일부 우익이 행하는 망언처럼‘조선의 근대화’가 아닌‘식민지 조선의 활용’에 단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비하다.

따라서 보다 활성화된 연구와 이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초 자료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강제동원이‘종료’된지 70여 년이 흐른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고 학문적 연구도 미비한 상태로 많은 연구 과제를 안고 있다.

그 과제 중의 하나가 바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의 기록을 담고 있는‘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이하 명부자료)에 대한 분석과 연구이다. 전시(戰時) 동원 과정과 패전 이후‘처리·수습’과정에서 일본은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 중 일부가 1990년대 집중적으로 사본의 형태로 한국 정부에 인계되어,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 중이다. 개별 자료마다 구성 항목에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의 인적 사항과 동원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언제, 어느 지역에서, 몇 살에’동원되어,‘언제, 어떤 부대·기업 소속으로, 어느 지역에, 어떤 신분으로’투입되어,‘어떤 환경에서, 어떤 노역에’처해 있었으며,‘언제, 어느 지역에서, 어떻게’부상·사망하였으며,‘언제, 어떤 경로를 통해 귀환’하였는가와 같은 내용을 일정하게 파악할 수 있다.

1) 국가기록원 소장‘명부자료’의 현황과 문제점

일본 정부로부터 인계받아 국가기록원에서 소장 중인‘명부자료’들은 현재 국가기록원에서‘일제 강점기 피해자 명부’로 지칭하고 있다. 그 규모는 일본으로부터 인계받은 자료 480,693명과 한국 정부가 작성한 285,771명에 이른다. 이하‘국가기록원 소장 명부자료’에 대한 내용은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의‘일제 강점기 피해자 명부’코너의‘명부소개’내용을 이용하였다(검색일시 : 2018.11.30.)

   2019년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소개하고 있는 이들 명부자료의 현황은 2018년과 다르지 않으며 그 내용은 <표 Ⅱ-1>과 같다.

2018년도 조사보고서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국가기록원의 명부자료에 대한 설명에는 여러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는 바로 새로운 내용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지 않은 점이다. 예를 들어, 2004년부터 2016년까지 강제동원 관련 피해조사 및 지원업무를 담당하였던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서 발굴·수집한 58종에 이르는 관련 명부자료에 대한 언급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위원회’에서 발굴·수집한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들의 목록에 대해서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위원회 활동 결과보고서', 2016.6, 459∼467쪽.

또한 새롭게 발굴된 자료들에 대해서는 ‘일정시피징병자급 애국운동자명부’를 제외하고는 검색도 불가능하다. 둘째는 바로 자료 내용의 설명에 대해 상당한 오류가 존재한다. 검색을 통해 나타나는 피해자들의‘연행지’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이해 없이 관련 내용이 작성된 것에서 비롯된 문제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국가기록원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현재까지 수집된 강제동원 관련 명부 전체에 대한 디지털화를 진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국가기록원, 흩어져 있는 일제 강제동원 명부 통합 작업 추진’, ‘연합뉴스’, 2019.12.23.
 
비록 많이 늦은 측면이 없지 않으나, 정확한 작업이 진행되고 그 성과물과 명부자료가 연구자 및 일반에 공개된다면 관련 연구의 활성화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현재까지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되는 여러 문제점도 역시 해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2) 제주인‘명부자료’의 현황

국가기록원 소장 명부자료(이하 국기 명부) 중 제주인 관련‘명부자료’는 2018년 용역 사업 중 제주학연구센터의 요청에 의해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었다. 제공된 제주인 관련‘명부자료’는 디지털 파일(JPG 파일, 총 12.1GB) 형태로 수록된 4개의 DVD와 이들의 색인목록(EXCEL 파일)으로 구성되었다. 총‘10,432명’(국가기록원 공문 상에 기재된 인원)의 기록이 제공되었는데, 각 명부들의 성격상 여기에는 중복된 인원이 다수 존재한다.

제공받은 제주인 명부자료‘10,432명’(국가기록원 공문에 기재된 인원)의 내용을 명부별로 정리하면 <표 Ⅱ-2>와 같다. 병상일지(39명), 병적전시명부(196), 부로명표(100명) 등의 자료는 비공개 자료로 색인목록만 제공되었다.
 제공된 색인목록의 인원수‘10,432명’에는 오류가 존재한다. 중복분이 그대로 계산된 것이다.

2. 제주인 ‘명부자료’의 데이터화 작업 박찬식·고광명·고병수(2018), 앞의 조사보고서 참조.

1) 작업 대상

이 조사보고서는 주로‘제주인 명부자료’중 다수의 인원이 게재되어 있거나 원자료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일부 자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표 Ⅱ-3> 참조).

 데이터화 작업은 기본적으로 개별 자료들의 항목(성명-창씨명, 생년월일, 소속, 계급·직종 등)에 기재된 내용을 엑셀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에서는 2018년도에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색인목록을 기본 자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화 작업은 자료 자체의 문제점과 부족한 연구로 인해 100%의 정확도를 이룰 수가 없었다. 데이터화 작업에서 직면한 난점으로 가장 큰 문제점은 원자료 자체의 오류이다. 개별 자료들 자체가 기재된 내용에 여러 오류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행정 구역이 잘못 기재된 사례부터 오자는 물론이고 기재 방법이 서로 차이가 나는 점이다. 관련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별 자료에 기재된‘약자’가 의미하는 내용 전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아울러 4개월에 못 미치는 짧은 작업 기간 또한 입력 작업에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제 동원된 제주인들의 현황 일부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매우 의의를 갖는 작업이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재 이러한 작업은 지방자치단체 차원은 물론이고 국가 차원에서도 진행되지 않은 작업으로 추후 보다 세부적인 연구의 기초 데이터로써 활용될 수 있어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된다.

2) 개별 자료의 입력 및 확인 내용
⑴ 조선인 노동자에 관한 조사결과(朝鮮人勞動者に關する調査結果)

① 자료 개요
명부자료“조선인노동자에 관한 조사결과”는 1946년 GHQ의 지시에 의해 일본 후생성이 각 현에 전시체제기 조선인 노무자를 사용한 각 작업장별로 관련 내용을 조사·보고할 것을 지시한 결과로 만들어진 자료이다. 이로 인해 각 현별로 답신 공문과 해당 현의 각 작업장의 연도별 조선인 인원수를 기록한 제1호표와 각 작업장별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국가기록원이 제공한 자료에는 제1호표가 확인되지 않는다).

각 작업장별 기록은 연도별로 관 알선과 징용으로 동원된 조선인 인원수를 기재한 통계표와 각 개인별 기록이 항목으로 기재된 제2호표, 그리고 해당 작업장의 전반적인 동원 상황이 기재된‘정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전 이후, 각 작업장에 소장 중인 원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2차 자료이나 1차 자료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자료에 수록된 인원수에 대해 국가기록원은 총 69,766건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제주인 색인목록에는 377건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자료의‘2호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소경로별, 성명, 연령(생년월일), 본적, 직종, 입소연월일, 퇴소연월일, 미불금-종별·금액, 퇴소 시의 대우, 후생연금보험 급부제·미제, 적요

② 데이터화 작업과 확인 내용
본 작업에서“조선인 노동자에 관한 조사결과”의 내용을 데이터화한 항목은 <표 Ⅱ-4>와 같다.

 데이터화 작업을 통해 국가기록원 엑셀 자료(이하 국기 엑셀)에는 총 377건이 확인되지만 이는 중복분 총 17건과 오류분(국기 엑셀 오류 3건-비제주도를 제주도로 인식- 및 원자료 기재 오류)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를 제외하면 총 355명의 제주인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355명이 투입된 작업장은 9개 현(県)에 걸쳐 약 40개 작업장이 확인되는데, 그 현황은 <표 Ⅱ-5>와 같다.

가장 많은 269명이 효고(兵庫)현의 15개 작업장에 투입되었다. 특히 하리마조선소(播磨造船所)에는 전체 인원(355명)의 과반 이상(64.79%)을 차지하는 230명이 투입되어 가장 많은 제주인들이 투입된 작업장이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니폰(日本)壓延共業에 11명이 뒤를 잇는다. 효고(兵庫)현 이외로 다수가 투입되는 지역은 도치키(栃木)현, 나가사키(長崎)현, 나가노(長野)현으로 각각 36명, 16명, 10명이 투입되었다. 그 외로는 10명 이내의 인원이 투입되었다. 이들 355명 중 확인되지 않는 15명을 제외한 340명의 경우 본적지 분포는 <그림 Ⅱ-1> 과 같다.

제주가 가장 많은 65명이 동원되었으며, 이어 한림 61명, 애월 42명 등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남원, 대정, 중문 등의 지역에서도 20명 이상이 동원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의 출생 시기는 생년월일이 확인되지 않는 11명을 제외한 344명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표 Ⅱ-6>과 같다.

1887년생부터 1932년생까지 다양한 연령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1987년생의 경우 1944년 4월경 이쿠노(生野)鑛業所에 투입되는데, 투입 시기로 환산해 보면 57세 무렵인 것을 알 수 있다. 1932년생의 경우 1945년 4월경 요시하라(吉原)製油(株) 니시노미야(西宮)工場에 투입되는데, 투입 시기로만 볼 때도 14세의 어린 나이에 동원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의 투입 시기는 투입 시기가 확인되지 않는 18명을 제외한 337명의 경우 <표 Ⅱ-7>과 같이 1937년부터 1945년에 걸쳐 분포한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중에 1944년 과반 이상(74.3%)인 249명이 투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투입 시기가 확인되는 337명의 경우에 출생 년도를 대비하면, <표 Ⅱ-8>과 같은 투입 당시의 연령을 확인할 수 있다.

14세부터 58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대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데, 20대가 265명으로 높은 비중(78.6%)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2세의 경우 194명으로 20대 중 73.2%를 차지하고 있는데 337명 전체 중에서도 과반 이상인 57.6%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직종이 확인되지 않는 인원은 355명 중 56명인데, 이를 299명의 경우 다음과 같은 약 36개의 직종이 확인된다.

キ銅工, キ仕上, メツキ工, 坑內夫, 坑夫, 坑外夫, 鉸鋲, 鉸全工, 金屬鎔接工, 機械, 器具, 銅工, 別衣箱工, 仕上, 選鑛夫, 壓延伸張工, 運鉱, 運轉手, 乙, 剪斷工, 製鋼, 製缶, 造械, 造機, 操炉工, 組立工, 造船, 鑄物, 准曠夫, 採鑛夫, 穿孔, 取付, 探炭夫, 土工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