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는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1941년 태평양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1938년 4월 1일‘국가총동원법’을 제정·공포하여 강제적이고 조직적으로 조선인을 징병·징용이라는 명목으로 강제 동원하였다. 전시체제기(1937∼1945) 당시 제주도민을 포함한 수많은‘식민지 조선인’들은 군인·군속, 노무자, 위안부 등의 형태로 일본의 침략전쟁 수행을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으로써 강제 동원되었다. 그 규모는 자료상의 한계로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하지만, 현재 한반도 내외의 지역에 약 782만 명(연 인원은 한반도 내 6백 50만 명, 한반도 외 104만 명)이 동원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강제동원 피해자 수는 학자와 연구자, 그리고 통계자료에 따라 그 수치가 명확하지 않다. 대한민국 정부(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연행 피해조사 및 대외강제연행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추계한‘조선인 강제연행’인원(중복 포함)은 7,804,37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들 중 군인(지원·징병 포함)은 209,279명, 군무원 60,668명(국민징용자 대상 제외), 노무자는 7,534,429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태평양전쟁 초기인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조선, 남양군도, 만주, 사할린 등에 동원되었다.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나 대장성(大蔵省) 관리국 등의 자료를 통해 보더라도 1939년에서 1945년 사이에 이르는 시기, 이른바‘국민동원 계획’에 의해 일본 및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강제 연행당한 조선인 노동자 수가 약 72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탄광광산, 금속광산, 토목건축, 항만운수, 기타 공장 등지로 동원되었다. 전체 동원자의 47.3%가 석탄광산, 그리고 28.4%가 공장 등에 강제 연행되었는데, 이는 일본 자본주의의 저임금 구조를 지탱하면서 전쟁 수행을 목적으로 동원되었던 것이다.

201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강제연행 피해신고 접수는 22만 6,638건으로 군인 37,205건, 군무원 29,430건, 노무자 157,618건, 위안부 334건 등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경우는 2,890건(군인 423건, 군무원 527건, 노무자 1,910건, 위안부 1건, 기타 24건, 미 표시 5건)을 접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피해신고 심의・결과에 따르면 전국적으로는 21만 9,489건이 인정되었는데, 이들 중 군인 32,607건, 군무원 29,430건, 노무자 144,764건, 위안부 334건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출신자는 2,852건(군인 361건, 군무원 569건, 노무자 1,847건, 각하・기각・판정불능 75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www.jiwon.go.kr

현지조사 지역인 긴키(近畿)지방은 일본이 아시아태평양 주변국을 침략하기 위해 무기와 군수물자를 생산하였던 곳이다. 이 지역에는 대표적인 강제동원 기업으로 三菱(重工業·造船·鑛業), 三井(造船·倉庫), 住友(金屬·電氣), 川崎重工業, 日本製鉄, 日本鑛業, 日曹鑛山, 池田建設, 東芝電氣, 神戸製鋼, 昭和紡績, 古河電工, 富士産業 등이 있었다. 효고(兵庫)현에 있는 대표적인 하리마조선소(播磨造船所)에서는 강제 징용으로 끌려간 제주도 출신들이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다 사망하였다.

특히 오래전부터 긴키(近畿)지방에서 군사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오사카(大阪)는 태평양전쟁 말기 1944년 12월부터 1945년까지, 미군으로부터 약 50번의 공습을 받았다. 그중에 8회는 100대 이상의 폭격기에 의한 대공습(大空襲)이었으며, 피해자는 약 46만 명에 이른다고 했다. 朝鮮人強制連行真相調査団(1933),『朝鮮人強制連行調査の記錄-大阪編』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본토공습’에 대비하여 본격적으로 지하 시설을 건립하기 시작했으며, 1944년 10월 이후부터는‘본토결전’이 정부·군부의 구호(slogan)로 인식하게 되었다. 일본에 지하벙커가 많은 것은‘본토공습’과 관련이 있어서 지하벙커 건설에 조선인들이 많이 연행되어 가혹한 노동에 시달렸기 때문에 강제 연행된 조선인 노동자를 추도하는 추도비가 여러 곳에 세워져 있다.

竹内康人編(2015)에 따르면, 사망자 명부에는 제주도 출신 군인·군속이 622명으로, 이 중에 육군이 243명, 해군이 379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북태평양, 남양군도, 대만, 필리핀, 자바, 괌으로 이동 중 전함(戰艦) 등에서 사망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강제노역자 중 제주도 출신 사망자는 185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홋카이도(北海道) 29명, 지시마(千島) 19명, 도쿄(東京) 8명, 와카야마(和歌山) 10명, 후쿠오카(福岡) 10명, 나가사키(長崎) 12명, 가고시마(鹿児島) 4명, 오키나와(沖縄) 12명, 기타지역〔서남제도, 일본 남방, 하치죠지마(八丈島), 일본 혼슈 동방, 일본 서남, 규슈 일본 서방, 혼슈 동방, 혼슈 남동, 혼슈 남방, 일본해, 이오지마(硫黃島), 오가사와라(小笠原)〕등에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사업은 1919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국가기록원‘명부자료(名簿資料)’를 통해 일제강점기 제주인의 강제동원 실태에 대해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과거사 해결의 사각지대인 제주인 강제동원에 대한 사실 규명과 함께 유가족의 명예회복을 실현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일제강점기 당시 제주도에서 일본, 중국, 한반도 및 동남아시아 등지로 강제 동원된 제주인의 발자취를 추적 발굴하고, 그들의 삶을 역사적으로 고증함으로써 과거사 해결과 명예회복의 근거로 삼고자 하는데 있다.

현재 제주도 출신들은 거의 사망하였거나 노인성 질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어서 그들의 자녀들인 제주인 2・3세를 통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관련된 이들의 삶과 애환을 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주지역 청소년들에게 조상들의 발자취를 보고 느끼게 함으로써 역사교육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1) 지역적 범위

현지조사는 일본 8개 지방 중 긴키(近畿)지방에 국한하여 실시하였다[교토(京都)부, 오사카(大阪)부, 효고(兵庫)현, 나라(奈良)현 등 4개 현(県)].

현지조사는 일본 긴키(近畿)지방에 있는 강제동원 관련 비(碑) 조사, 제주인 이동경로, 기관방문(기념관), 면담조사(관장, 종교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3) 시간적 범위

본 조사는 2019년 8월 16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4개월 16일)이다.

2) 연구 방법

(1) 문헌조사

본 조사는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대전기록관(일제강점기 피해자 명부), 국무총리 소속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竹内康人編(2015)󰡔戦時朝鮮人強制労働調査資料集(増補改訂版)-連行先一覧‧全国地図‧死亡者名簿󰡕, 일본 강제동원 관련 저서, 논문, 통계자료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이 보고서에서는 국가기록원 소장 중인‘명부자료’를 제공받아 이에 대한 데이터화 및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명부자료는『工員名簿』,『工員名票』,『舊日本陸海軍徵用船死亡者名簿』,『舊海軍軍屬身上調査表』,『舊海軍軍人履歷元標』,『倭政時被徵用者名簿』,『留守名簿』,『陸軍運輸部軍屬名簿』,『朝鮮人勞動者에 關한 調査結果』,『被徵用死亡者連名簿』 등이다.

○ 국가기록원 제공의 강제동원 제주인 피해자 명부 DB화 작업
○ 강제동원 제주인 피해자 실태 정리 및 분석(유형별, 지역별, 시기별)

(2) 현지조사

○ 도내 현지조사는 2019년 9월 15일(일) 제주시 애월읍 소재 선운정사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 일본 현지조사(1차)는 2019년 8월 16일(금)부터 8월 21일(목)까지로 긴키(近畿)지방(京都, 大阪, 兵庫)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 일본 현지조사(2차)는 2019년 10월 1일(화)부터 10월 6일(수)까지로 긴키(近畿)지방(京都, 大阪, 奈良)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3) 현지조사 일정 및 내용

 제주시 애월읍 강제동원 관련 자료 수집 (統國寺에서 봉환된 유골 74기 안장)선운정사


(4) 작업 진행 내용

○ 작업 개요
2018년 제주학연구센터의 요청으로〈제주학연구센터-1878(2018.10.01.)〉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제공한‘일제 강점기 피해자 명부’내의‘강제동원자 명부’중‘제주’로 검색된 기록물 사본〈국가기록원 공문 공개서비스과-18212(2018.10.31.)‘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강제동원 현황 및 실태조사(九州·沖縄편)’에 따른 자료 협조 요청 회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DB)로 작업하였다.

○ 작업 범위 및 애로 사항
국가기록원 공문‘공개서비스과-18212’로 회신된 약 10,432건의 제주인 관련 기록 중 판독이 용이한 일부 문서철에 대해 진행하였다.

○ 작업 내용
각 문서의 판독 가능한 주요 항목 내용을 엑셀(Excel)로 입력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①『피징용사망자연명부』(약 619명), ②『왜정시피징용자명부』(약 1,583명), ③『구해군군속신상조사표』(약 1,215명), ④『유수명부』(약 840명), ⑤『조선인노동자에 관한 조사결과』(약 377명), ⑥『군인이력원표』(약 304명), ⑦『임시군인군속계』(약 976명), ⑧『구일본육해군징용선 사망자 명부』(약 370명)

3. 기존연구의 검토

본 조사의 목적은 전시체제기(1937∼1945)에 다수의 제주도 출신들이 일제에 의해 강제 동원되어, 일본의 침략전쟁 수행을 위한 인적 자원으로써 활용되었다.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및 현황 파악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인의 강제동원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기록원이 소장 중인‘명부자료’를 제공받아 이에 대한 데이터화 및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강제연행 관련 제주인 실태조사는 2017년과 2018년에 작성한 조사보고서를 제외하면 제주인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이다. 박찬식·고광명·고병수(2017),『일제 강제연행 재일제주인 이주경로 추적』, 제주특별자치도·제주학연구센터. 박찬식·고광명·심재욱·고병수(2018),『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강제동원 현황 및 실태조사(九州·沖縄편)』, 제주특별자치도·제주학연구센터.

 이러한 연구 상황 속에서 재일조선인 강제동원과 관련하여 국내외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사학자 박경식(朴慶植)은 1965년 󰡔朝鮮人強制連行の記録󰡕을 저술하였다. 朴慶植(1965), 󰡔朝鮮人強制連行の記録󰡕, 未来社〔박경옥(2008), 󰡔조선인 강제연행의 기록󰡕, 고즈윈〕. 이 외에도 강제연행 관련 연구로는 다음과 같이 다수의 문헌들이 있다. 金英達(2003), 󰡔朝鮮人強制連行の研究󰡕, 明石書店. 朴慶植(1991),「朝鮮人強制連行についての調査研究」 , 󰡔アジア問題研究所報󰡕(6), アジア問題研究所. 朴慶植(1993),「朝鮮人強制連行」 , 󰡔朝鮮人強制連行論文集成󰡕, 明石書店. 김인덕(2002), 󰡔강제연행 연구󰡕, 경인문화사. 정혜경(2006), 󰡔조선인 강제연행 강제노동Ⅰ: 일본편󰡕, 선인. 정혜경(2011), 󰡔일본 제국과 조선인 노무자 공출 : 조선인 강제연행‧강제노동Ⅱ󰡕, 선인. 龍田光司編 (2016),『朝鮮人強制動員韓国調査報告 1·2』, 緑蔭書房.
 
이 저서는 일제강점기 강제연행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로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강제연행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물이다. 식민지 노예로 혹사당한 조선인들이 얼마나 비참한 상황에 처했었는지, 어떻게 강제 연행될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고 해방 후 어떤 차별 대우를 받았는지에 대한 실상을 공개하였다. 조선인의 강제연행 사실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던 시절에 그는 강제 연행된 조선인들의 학살 현장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각종 문서를 조사하였으며, 조선인 징용자 및 목격자를 만나 인터뷰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해방 전후 일본사회의 냉혹한 현실을 겪은 재일조선인 1세대의 입장에서 각종 노역으로 혹사당하고 종전 후에는 조국으로 돌아가지도 못한 채 기본적인 생활조차 보장받지 못한 재일조선인들의 실상을 밝히고 있다.

둘째, 朝鮮人強制連行調査団은 1974년 󰡔朝鮮人強制連行‧強制労働の記録-北海道‧千島‧樺太編󰡕을 발간한 이후 해당 지역의 특성에 따른 조사를 진행한 결과물을 시코쿠(四国), 오사카(大阪), 효고(兵庫), 주부‧도카이(中部‧東海), 주고쿠(中国), 간토(関東) 등 지역별 시리즈(󰡔朝鮮人強制連行調査の記録󰡕)을 발간하였다. 朝鮮人強制連行真相調査団(1974), 󰡔朝鮮人強制連行‧強制労働の記録-北海道‧千島‧樺太編󰡕, 現代史出版会.

 이 조사단은 일본인과 조선인의 엄밀한 공동조사로 국소적으로 행해왔던 강제연행 조사의 성과를 포함해서 새롭게 일본 열도 전역에 전개된 전시하의 강제연행을 총괄적으로 해명하였다. 특히 각지에서 모집된 조선인들은 철도나 금속광산, 조선소, 군수공장, 군사시설, 지하공장 건설 등을 위해 강제노동에 임하게 되었다.

셋째, 武富登已男‧林えいだい(2000)는 중국, 조선반도에 있어서 모든 국가의 노동자 현실, 탄광에서의 과혹한 강제노동, 학살, 도주 그리고 패전 등 갱내(坑內)계(係), 특고(特高), 포로들의 생생한 증언, 수기, 게다가 폐각 처분된 미츠이(三井)야먀노(山野)광산(鉱山)의 수용소 설계도를 통해 전시하의 탄광의 실태를 밝혀냈다. 武富登已男‧林えいだい(2000), 󰡔異郷の炭鉱-三井山野鉱強制労働の記録-󰡕, 海鳥社.

넷째, 정혜경(2003)은 󰡔일제말기 조선인 강제연행의 역사-사료 연구󰡕에서 식민지 지배의 잔상인‘피해의 역사’와‘강제연행의 역사’를 통해 인간이 추구해야 할 보편적인 가치에 대해 논했다. 정혜경(2003), 󰡔일제말기 조선인 강제연행의 역사-사료 연구󰡕, 景仁文化社.
 문헌자료는 물론, 노동현장을 답사하고 경험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하며, 그들의 삶의 궤적을 이해하려 했던 작업의 경험을 모아 정리하고 있다.

다섯째, 한일민족문제학회(2005)는 식민지시대 노동력 수탈과 관련된 국내외 주요 연구를 총망라하여 노동력, 병력, 성 동원, 귀환, 원폭 피해, 전후 보상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있으며, 주요 논저의 해제 및 출판지, 주제별 목록을 소상히 제시하고 있다. 한일민족문제학회 강제연행문제연구분과(2005), 󰡔강제연행 강제노동 연구 길라잡이󰡕, 선인.

여섯째, 김인덕(2008)은 「일제시대 여수지역 강제연행에 대한 고찰」 이란 논문에서 일본 전역과 태평양 일대까지 여수 사람들이 끌려갔다고 했다. 특히 여수지역 강제연행 가운데 군속으로 동원된 경우는 일본 홋카이도, 오사카, 규슈, 남양군도(南洋群島) 등지로 갔다. 결국 이 지역은 강제연행의 송출지로 다른 지역과는 차별성을 갖고 있는 특수한 곳으로, 특히 배에서 생활한 경험 때문에 군함(軍艦)에서 주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김인덕(2008), 「일제시대 여수지역 강제연행에 대한 고찰」, 󰡔역사와 경계󰡕 67권, 부산경남사학회, 9∼29쪽.

일곱째, 竹内康人編(2012)은 조선인 강제연행자 명부 분석, 조선인 미지불금 실태, 강제동원 수와 유골, 과거청산 운동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竹内康人編(2012),󰡔戦時朝鮮人強制労働調査資料集2-名簿‧未払金‧動員数‧遺骨‧過去清算-󰡕, (財)神戸学生青年センタ-.
 또한 竹内康人編(2015)은 전시 조선인 강제노동 조사의 현황과 과제, 강제연행 조선인 노동현장 전국 일람표, 강제연행 전국지도, 강제연행 조선인 사망자 명부 등을 정리하였다. 竹内康人編(2015), 󰡔戦時朝鮮人強制労働調査資料集(増補改訂版)-連行先一覧‧全国地図‧死亡者名簿-󰡕, (財)神戸学生青年センタ-. 이 외에도 강제연행 관련 연구로는 다음과 같은 문헌들이 있다. 竹内康人(2013),󰡔調査‧朝鮮人強制労働①炭鉱編󰡕, 社会平論社; 竹内康人(2014),󰡔調査‧朝鮮人強制労働②財閥‧鉱山編󰡕, 社会平論社; 竹内康人(2014),󰡔調査‧朝鮮人強制労働③発展工事‧軍事基地編󰡕, 社会平論社; 竹内康人(2015),󰡔調査‧朝鮮人強制労働④軍需工場‧港灣編󰡕, 社会平論社.

여덟째, 沖本富貴子(2017, 2018)는 오키나와전(沖縄戦)에 조선인이 어떻게 연행되어 배치되었는지, 그리고 소속했던 부대와 부대배치 수에서 전체의 윤곽을 잡으려 했다. 부대별로 사망자 수, 사망 시기, 사망 장소를 살펴봄으로써 전장의 실상에 대해 접근하려고 했다. 더 나아가 조선인 부대가 있었던 특설수상근무대(特設水上勤務隊)에 대해 동원에서부터 오키나와의 항만 작업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으로 다룬 논문이다. 沖本富貴子(2017),「沖縄戦に動員された朝鮮人に関する一考察-特設水上勤務隊を中心に」, 󰡔地域研究󰡕第20号, 沖縄大学地域研究所, 29∼53쪽. 沖本富貴子(2018),「沖縄戦の朝鮮人-数値の検証」, 󰡔地域研究󰡕第21号, 沖縄大学地域研究所, 45∼65쪽.

아홉째, 박찬식·고광명·고병수(2017)는 기존의 강제연행 연구에서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예비조사(역사탐방) 일환으로서 재일한인(재일제주인) 강제연행 피해자와 사망자 현황, 그리고 강제연행 관련 추모시설에 대해 살펴보았다. 박찬식·고광명·고병수(2017), 앞의 조사보고서 참조.
 또 박찬식·고광명·심재욱·고병수(2018)는 일본 오키나와(沖縄)·규슈(九州)지방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된 재일제주인의 이동경로, 강제연행 관련 추모시설, 강제동원 현황 및 피해자 실태를 파악하였다. 박찬식·고광명·심재욱·고병수(2018), 앞의 조사보고서 참조.

열째, 朝鮮人強制連行真相調査団(2019)이 간행한 자료에는 일본 35개 도(都)도(道)부(府)현(県)에 세워진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추도비 약 170개에 대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강제동원·강제노동 희생자 비와 구(旧)일본군 성 노예 희생자 비,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추모비, 히로시마(広島)·나가사키(長崎) 원폭 피해자와 도쿄(東京)·오사카(大阪) 대공습 조선인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비 등에 대한 진상을 밝히고 있다. 朝鮮人強制連行真相調査団・資料集「朝鮮人犧牲者追悼碑」制作委員会(2018), 『資料集·朝鮮人犠牲者追悼碑-歴史の真実を深く記憶に-』〔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편(2019),『일본지역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역사의 진실을 가슴 깊이 새기다』, 동북아역사재단〕.

이 외에도 시즈오카(静岡)현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케우치 야스토(竹内康人)는 다음과 같은 자료들을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竹内康人(2013),『調査·朝鮮人強制労働①炭鉱編』, 社会平論社; 竹内康人(2014),『調査·朝鮮人強制労働②財閥·鉱山編』, 社会平論社; 竹内康人(2014),『調査·朝鮮人強制労働③発展工事·軍事基地編』, 社会平論社; 竹内康人(2015),『調査·朝鮮人強制労働④軍需工場·港灣編』, 社会平論社 등의 연구 자료를 참고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강제연행에 대한 조사·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2000년대 전후로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내외 강제동원 연구는 한국에서 2004년‘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진상 규명’관련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동 위원회가 설치 운영되면서 시민단체와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발굴 조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조사는 일제말기(1939∼1945) 일본에 강제적으로 동원된 제주인 1세들의 자취를 추적 발굴하여 향후 제주인의 강제동원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제강점기 제주인의 강제연행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해‘피해자 명부’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근거로 제주인의 과거사 명예회복의 자료, 진실 규명을 통한 역사의 교훈, 역사탐방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청소년들의 우리 조상의 발자취를 걷게 하고 제주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