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대성 생물 지표종인 담홍말미잘 의한 ‘해송’집단 폐사 확인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보호종·보호구역’지정만 하고 관리 손 놓아
기후변화로 수온 상승 등 다양한 원인...실태 조사 시급

담홍말미잘이 천연기념물이며 법정 보호종인 ‘해송’에 기생해 폐사가 진행중인 모습.(사진제공=녹색연합)

기후변화로 난대성 생물 지표종인 담홍말미잘이 천연기념물이며 법정 보호종인 ‘해송’에 기생하면서 집단 서식지에 폐사가 확인됐다.

녹색연합은 지난 4월과 5월 제주 서귀포 문섬 일대 바닷속에서 법정 보호종 ‘해송’과 ‘긴가지해송’의 집단 폐사를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난대성 생물 지표종인 담홍말미잘이 해송에 기생하면서 집단 폐사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국내 최대 해송 서식지인 문섬 새끼섬 동쪽, 수심 20~30m 사이에서 확인한 해송 집단 폐사는 충격적이라는 것.

‘바다의 소나무’라 불리는 해송은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멸종위기종의 국가 간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I로서 국가 차원에서 시급히 보호해야 할 국내외 멸종위기종이다.

녹색연합은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행정기관은 보호종, 보호구역 지정 후 관리에 손 놓았다”고 비난했다.

산호충류 연구자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염분의 밀도 저하,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교란 등 다양한 원인으로 해송이 죽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제주 연안에는 국내 산호충류 160종 중 125종이 다양하게 서식하며, 특히 서귀포 문섬과 범섬 일대는 세계 연산호 서식지 중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곳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해송 집단 폐사가 확인된 문섬 일대는 그 자체로 국내외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철저한 관리가 요청되는 지역이다.

문화재청은 제주 남부해역의 서귀포 일대와 송악산 일대를 천연기념물 제442호 ‘제주연안연산호군락’으로 지정했고, 문섬과 범섬은 그 자체 천연기념물 제421호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이다.

녹색연합은 “한라산과 문섬을 포함한 제주 남부 해역은 등 국내 보호구역 중 보전 가치가 으뜸인 지역”이라고 했다.

녹색연합은 “해송은 철저하게 보호, 관리되어야 마땅한 것”이라며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해송 등 법정 보호종 산호충류에 대한 개체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않았고, 관련 예산과 인력은 전무하다”고 비난했다.

녹색연합은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해송’집단 폐사의 원인을 즉각 밝혀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특히 법정 보호종으로 지정된 산호충류의 변화상을 추적해 변화에 따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제주 바다 산호충류의 현장 모니터링, 연구와 조사, 교육과 홍보 등을 총괄할 ‘산호보호센터’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녹색연합은 “오는 31일은 ‘바다의 날’이다. 지난 22일은 UN이 정한‘세계생물다양성의 날’이었고, 6월 5일은‘환경의 날’이다”며 “관련 정부 기관은 기념식 준비에 여념이 없다. 그러나 정작 바닷속 문화재이며 보호종 산호는 위기 상태다. 멸종위기 산호충류는 세 행정기관의 사각지대에서 집단 폐사를 맞이한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녹색연합은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해송’ 집단 폐사의 원인을 즉각 밝혀야 ▲‘해송’집단 폐사와 법정 보호종 산호충류 현황 조사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 구성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특히 법정 보호종으로 지정된 산호충류의 변화상을 추적하고 보호 대책을 마련 ▲제주 산호충류의 현장모니터링, 연구와 조사, 교육과 홍보 등을 총괄할 ‘산호보호센터’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제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